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간장 된장 6월 인상...총선 끝나자 장바구니물가 줄줄이 인상예고
    세상의모든뉴스 2024. 5. 29. 04:56
    반응형

    식품업체들이 줄줄이 가격인상을 예고하고 나서며 소비자들의 물가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한국인의 식탁에 없어서는 안될 간장, 된장 가격인상은 이를 활용한 외식물가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음료와 건전지, 면도기 등 생활용품들도 6월 줄인상을 앞두고 있어 소비자들의 물가인상으로 인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총선 앞두고 정부 물가인상 억제 노력

     

     

    지난 3월 19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요 식품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정부의 물가안정기조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총선을 앞두고 물가인상에 따른 민심이반을 우려한 정부가 식품업계를 만나 식품업계를 만나 가격인상 자제를 요청한 겁니다. 이에따라 식품업계는 장류 등 조미료 상품군의 경우 지난 4월 가격을 올리려다 정부요청에 인상시점을 미뤘습니다. 

    실제로 국내 간장시장 1위 업체인 샘표는 5월 중 장류 가격인상을목표로 대형마트 등에 관련공문까지 보내고 협의과정을 거쳤으나 정부요청에 인상시점을 늦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롯데 웰푸드 역시 초콜릿의 주원료인 코코아 시세가 역대 최고수준으로 치솟아 가나초콜릿, 빼빼로 등 초코과자류의 가격을 인상하려 했으나 정부요청에 따라 인상시기를 1개월여 늦춘바 있습니다. 

     

     

    총선 끝나자 간장, 된장 등 식음료 가격인상 줄줄이 예고

     

     

    정부의 강력한 요청에 판매가 인상을 미뤘던 식음료업계는 원재료 가격인상으로 더이상 가격인상을 미룰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원재료 수급이 어려워진 카카오, 커피원두, 올리브유, 마른김 등의 인상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정부요청으로 가격인상을 미뤘던 샘표식품은 6월 중순 간장제품 가격을 평균 7.8% 올린 예정입니다. 대표제품인 '샘표 양조간장 501'의 가격은 11.8% 올라갑니다. 샘표식품의 지난해 간장시장 점유율은 소매점 매출기준 57%에 달합니다. 업계 1위인 샘표의 가격인상과 함께 다른 장류 제조사들도 가격 인상에 나설 전망입니다. 

    모든 음식의 베이스가 되는 장류의 가격인상은 자연스럽게 이를 활용하는 음식, 가공식품의 가격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소비자 물가가 상당한 폭으로 오른 가운데 6월 식품업계의 가격인상으로 또 한번 물가가 요동을 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CJ 제일제당, 샘표식품 등은 국제 올리브유 가격 급등에 따라 5월 올리브유의 가격을 약 30% 올린바 있습니다. 또 김 원초 가격 급등으로 CJ제일제당과 광천김, 대천김, 성경식품 등이 5월 초 김제품 가격을 올린데 이어 김시장 1위 업체인 동원 F&B도 6월부터 김 가격을 평균 15% 올리기로 했습니다. 

     

     

    "물가를 보면 다행"이라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장바구니 물가의 연이은 인상 예고로 많은 국민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가운데 정부는 정반대의 안일한 시각을 보이고 있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관련해 "하반기가 되면 2% 초중반으로 하향 안정화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최 부총리는 "물가를 보면 다행스럽게도 공급 측 요인들이 조금씩 완화돼서 지난달 (물가 상승률인) 3.1%가 정점"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6월 식음료품의 가격인상을 시작으로 하반기 공공요금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정부의 태도가 안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총선을 앞두고 정부는 상반기에 공공요금의 인상을 억제해 왔습니다. 그러나 당장 서울시가 7월부터 지하철 요금을 올리기로 했고, 다른 공공요금들도 하반기부터 본격화 될 전망입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른 상황에서 전기, 가스요금을 지속적으로 억제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연이은 물가상승과 이로 인한 소비둔화로 우리경제가 침체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당국의 기민하고 발빠른 대응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